공부기록
코타쿠
« 2025/02 »
일 |
월 |
화 |
수 |
목 |
금 |
토 |
|
|
|
|
|
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13 |
14 |
15 |
16 |
17 |
18 |
19 |
20 |
21 |
22 |
23 |
24 |
25 |
26 |
27 |
28 |
|
관리 메뉴
공부기록
Protocol Layers 본문
- 프로토콜은 복잡한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계층화 되어 있다.
- 계층화 되면서 시스템이 모듈화 된다. 이는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기 용이하다.
- 한 시스템의 변화가 다른 시스템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.
- Internet Protocol Stack
- Applictaion
-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.
- 많은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. HTTP, FTP, SMTP, DNS ...
- 전송되는 정보 패킷을 message라고 부른다.
- Transport
- 어플리케이션 층의 메세지를 전송한다.
- TCP, UDP 프로토콜을 포함한다.
- 이 층의 패킷을 segment라고 부른다.
- Network
- 데이터그램을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라우팅한다.
- 이층의 패킷을 datagram이라고 한다.
- 라우팅 프로토콜과 IP 프로토콜을 포함한다.
- Link
- network와 physical 계층 간의 데이터 전송을 해준다.
- Ethernet, PPP 프로토콜을 포함한다.
- 이 층의 패킷을 frame이라고 한다.
- Physical
- OSI 7 Layer
- Presentation
- 교환되는 데이터를 통역하여 서비스들이 통신하도록 한다.
- 데이터 압축, 데이터 암호화, 데이터 기술 등을 포함한다.
- Session
- 송수신 간의 대화 동기화 (체크포인트를 찍음으로써), 동기점을 통해 데이터 회복을 한다.
- Encapsulation
- 각 계층을 지나가면서 각 계층의 헤더를 달고 떼면서 각 계층에서 해야할 일을 수행하게 된다.